분류 전체보기819 [Linux] ps 명령어 사용법 안녕하세요. 주식회사 서버몬 입니다. 현재 컴퓨터에 있는 프로세스의 상태를 확인하는 명령어 입니다. 주로 서버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프로세스의 상태를 관리자가 파악할때에 사용하는 명령어 입니다. 가장 흔하게 실행하는 명령어 중 하나이며, 서버관리에 있어서는 없어서 안 될 아주 중요한 명령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용형식 ps [options] 사용예시 1. ps 아무런 옵션없이 사용할경우 현재 사용자가 실행시킨 프로세스만을 간단하게 보여줍니다. 2. ps -ef ps를 명령어를 사용하면서 -e와 -f 옵션을 흔히들 사용합니다. -e 옵션은 모든 프로세스를 표시해주는 옵션이고, -f옵션은 전체경로로 프로세스를 표시해주는 옵션입니다. 위 두 옵션을 같이 사용하여 모든 프로세스를 자세히 보려고 할 때 사용합.. 2021. 5. 14. [HPE] Virtual NIC 설정을 통한 로컬에서의 iLO5 관리 페이지 접속 안녕하세요. 주식회사 서버몬 입니다. 이번에는 HPE Gen10 서버에서 제공하는 Virtual NIC을 활용 하여 로컬 서버 상에서 iLO5의 관리 웹 페이지에 접속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존에는 iLO 설정 후에 별도의 네트워크 설정 후 로컬이 아닌 타 서버 또는 PC 상에서 관리 페이지에서 접근을 할 수 있었지만, 로컬 서버내에 Virtual NIC을 활성화 한 후 가상의 인터페이스를 생성 하여 iLO5 관리 웹 페이지에 접속 할 수 있습니다. 1. 서버의 전원이 켜지면 "F10"을 눌러서 Intelligent Provisioning에 진입 합니다. 2. "Intelligent Provisioning"을 선택 합니다. 3. 다음 나오는 화면에서 "Intelligent Provi.. 2021. 5. 12. [DELL] TSR로그 수집 방법 안녕하세요. 주식회사 서버몬 입니다. DELL TSR로그 추출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해당 서버 IDRAC IP로 접속 (저희 서버는 192.168.0.86이지만, 기본적으로는 192.168.0.120입니다. 마찬가지로 ID : root P/W : calvin으로 기본 값입니다.) 2. Maintenance - SupportAssist로 이동(IDRAC 7,8버전에서는 Maintenance - TroubleShooting에서 로그를 수집 할 수 있었지만, 버전 업이 되면서 변동이 되었습니다.) 3. Start a Collection 실행 4. 수집 할 로그 체크 후 Collect를 클릭합니다. 5. 상단의 Save and View를 클릭합니다. 6. TSR로그를 저장합니다. 7. View.. 2021. 5. 6. [HPE] iLO IP 변경 및 DHCP On/Off 안녕하세요. 주식회사 서버몬 입니다. iLO IP 설정시 기본적으로 DHCP로 구성되어 있는데 해당 IP를 수동설정 하는 방법입니다. 1. F9 System Utilites 선택 (iLO IP를 DHCP로 사용할 경우 1번 그림 하단의 iLO 5 IPv4 주소를 확인하면 됩니다.) 2. System Configuration 선택 3. iLO 5 Configureation Utility 선택 4. Network Options 선택 5. 기본 세싱은 DHCP Enable 항목이 On으로 되어있습니다. 특정 IP로 변경을 원할시 DHCP Enable 항목을 Off로 변경하시고, 아래 그림의 빨간 네모박스를 변경 해주면 됩니다. 이후 서버 재부팅하면 적용이됩니다. 로그인할때에는 브라우저에서 설정한 IP로 접속하.. 2021. 5. 3. [Linux] history 관련 명령어 - 1 안녕하세요. 주식회사 서버몬 입니다. linux history 관련 명령어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1. history 관련 변수 #echo $HISTFILE #echo $HISTFILESIZE #echo $HISTSIZE HISTFILE : 현 접속자의 히스토리 파일(.bash_history) HISTFILESIZE : 히스토리 파일에 저장되는 명령어 수 HISTSIZE : 세션 중에 히스토리 저장되는 명령어 수 2. history 조회 history 명령어를 그냥 사용하면 history 에 저장된 모든 명령어를 출력합니다. #history #history | grep head -5 *head -5 명령어는 저장된 history 명령어 중 제일 처음에 사용한 기록이 출력 됩니다. *head 없이 그냥.. 2021. 4. 30. [Linux] 환경 변수 확인 및 추가 안녕하세요. 주식회사 서버몬 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리눅스에서 환경변수를 설정하는 env, set, export명령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env : 전역 변수 설정 및 조회 명령어 입니다. $ env 현재 세션에 정의된 환경 변수들을 화면에 출력합니다. $ env NAME=VALUE NAME이라는 환경변수에 VALUE라는 값을 지정합니다. $ env -u NAME NAME 환경변수를 삭제합니다. set : 사용자 환경 변수 설정 및 조회 set은 Bash의 쉘 변수를 관리하는 명령어입니다. set NAME=VALUE #BASH 에서는 SET 을 생략 가능합니다. NAME=VALUE 쉘 변수는 Bash라는 쉘 스크립트 언어에서 사용하는 변수이고, 환경 변수는 운영체제에서 사용하는 변수(예: PATH)입.. 2021. 4. 26. [DELL] RAID Card의 Cache Policy 설정 안녕하세요. 주식회사 서버몬 입니다. 보통 Cache는 임시로 데이터를 저장해두는 저장소를 말하며, CPU의 L1, L2 캐시나 RAM 같은 메모리를 지칭하기도 합니다. RAID를 관리하는 있는 RAID 컨트롤러에도 이와같은 Cache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DISK의 Cache는 CPU나 Memory에 비해 굉장히 낮은 I/O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자주 쓰는 데이터를 RAID 컨트롤러 내부에 있는 캐시에 저장하여 전달하기도 합니다.(Write Cache만을 위한 정책으로 봅니다.) RAID 컨트롤러에 이 캐쉬 메모리(Write Cache)를 사용하는 정책을 지정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 본 문서는 서버 - R740 / RAID Controller - H730p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 2021. 4. 23. [Linux] CentOS 메모리의 Buffer와 Cache 삭제 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주식회사 서버몬 입니다. 리눅스 운영 체제는 물리적인 메모리 내에 자주 사용하는 파일이나 파일의 위치 정보 등을 버퍼와 캐쉬 영역으로 자동 할당하여 관리 하기 때문에 디스크의 I/O 성능을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장착되어있는 물리적인 메모리의 용량이 부족하게 될 경우, 하드디스크에 설정된 스왑 영역을 이용하게 되므로 오히려 성능적인 부분에는 역효과를 내게 되는 현상이 발생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메모리의 사용량을 모니터링 하여, 실제 가용한 물리적인 메모리에 비해 현저히 많은 공간을 버퍼와 캐쉬의 공간으로 OS가 점유 하고 있다면 주기적으로 버퍼&캐쉬 메모리의 삭제를 통하여 최적의 성능으로 유지&관리 할 수 있습니다. 캐쉬 메모리는 /proc/sys/vm/.. 2021. 4. 21. [HPE] UEFI / Legacy Mode Boot Mode 변경(BIOS) 안녕하세요. 주식회사 서버몬 입니다. BIOS에서 UEFI와 Legacy 모드 변경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F9 System Utilites 선택 2. System Configuration 선택 3. BIOS/Platform Configureation(RBSU) 선택 4. Boot Options 선택 5. Boot Mode 를 보면 두가지 선택이 가능합니다. UEFI Mode / Legacy BIOS Mode HPE, 레노버, 델 서버, 워크스테이션, 기업용 노트북 등 IT 제품은 서버몬에서 견적받아보세요~ 제품에 대한 상담을 희망하시면, 02-2026-5062 or sales@servermon.co.kr로 문의 주세요. 서버몬에서 운영하는 IT 쇼핑몰을 구경하시려면, 하단의 로고를 클릭해주세요. 2021. 4. 12. 이전 1 ··· 63 64 65 66 67 68 69 ··· 91 다음